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경기도 청년 지원금 프로그램: 종합 가이드 1탄

by JJ_IN 2024. 1. 21.
반응형

1. 서론

경기도가 제공하는 청년 지원금 프로그램은 지역 청년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 이번 시간에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상세히 분석하고, 자격 요건, 신청 방법 및 지원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당장 신청가능한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 있는만큼 프로그램별로 달력에 꼼꼼하게 표시해두시길 바랍니다. 

2. 경기도 청년기본소득

지원 대상: 경기도에 사는 만 24세 청년으로, 경기도에 3년 이상 계속 거주하거나 합산 10년 이상 거주한 사람.
지원 내용: 분기별 25만원(최대 4분기 지원), 시군별 지역화폐로 지급.
자격 제한:

미취업자(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단기근로자 포함)만 신청 가능.

2017~2023년 서울청년수당 수령자, 대학교 재학생/휴학생, 2023년 최저임금 이상 소득이 있는 창업자, 기초생활수급자 및 차상위계층, 국토교통부 청년 월세지원/실업급여/청년내일채움공제/서울시 희망두배청년통장/서울시 청년월세지원 수령자는 제외.
신청 방법: 온라인(apply.jobaba.net)

 

3. 경기도 청년 면접수당지원

지원 대상: 경기도 내 거주 중인 18세 이상 39세 이하 청년.
지원 내용: 면접수당 1회 5만원, 최대 10회 지원.
지급 방식: 시군별 지역화폐.
신청 방법: 온라인(apply.jobbaba.net)

 

4. 경기도 청년 노동자 지원사업

지원 대상: 만 18세~만 34세 이하,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등에 재직 중인 청년.
지원 내용:

중소기업 청년 노동자: 분기별 60만원 지역화폐 지원(2년).
청년 복지포인트: 분기별 30만원 지원(1년).
신청 방법: 온라인(youth.jobaba.net). 중복 지원 불가.

 

5. 경기청년 역량강화 기회지원

지원 대상: 경기도에 주민등록이 있는 미취업 청년(19~39세), 지원연도 1월 1일부터 신청일까지 경기도에 계속 거주.
지원 내용: 어학시험, 자격시험 응시료 지원. 회당 최대 10만원, 연간 최대 3회 실비 지원.
신청 방법: 온라인(apply.jobaba.net/special/GGtestfees/main.do) 신청 필요 서류: 신청서, 개인정보 동의서, 시험결제영수증, 시험응시확인서, 주민등록초본, 건강보험료, 자격득실확인서, 통장사본.

 

6. 결론

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경기도 청년들에게 경제적 지원과 함께 자신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.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시지 마시고 달력에 표시해두시고 해당 날짜가 되었을 때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. 

 

 

[다음 포스트 예고]
"경기도 청년 지원금 프로그램: 종합 가이드 2탄"에서는 더 많은 지원 정책을 소개할 예정입니다. 다양한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 계속해서 저희 블로그를 주목해주세요!

 

 

 

"경기도 청년 지원금 프로그램: 종합 가이드 2탄" 바로가기

 

"일자리채움청년지원금"  알아보러  바로가기

 

반응형